미디어  In Media


" 신문, 방송 등 언론을 통해 김세용 교수님께서 전하시는 현재 도시건축 관련 이슈와 인터뷰, 기고문 등을 공유드립니다 "

기고문[기고문] 주거의 초고층화 문제있다 / 서울신문

연구조교
2013-02-26
조회수 596

(서울신문 2006년 1월 28일)

전국이 초고층 건물 구상으로 난리이다. 서울은 물론이고 웬만한 도시에서는 50,60층 이상 되는 초고층 건물 짓기가 경쟁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주로 주거용 초고층 건물들이 구상중인데, 그 이유도 다양하다. 도시 토지이용의 효율화를 위해서, 부족한 주택난에 숨통을 트기 위해서, 도시의 새로운 상징으로 삼기 위해서, 도시의 스카이라인에 변화를 주기 위해서 등등. 처녀가 애를 낳은 것도 아닐진대, 다들 할 말이 많을 것이고 그럴듯한 이유가 있을 것이다.

모두가 알다시피 우리 도시는 지난 40여년간 급속하게 확대되어 왔다. 가파른 경제 개발과 더불어 진행된 도시화는 삶터의 팽창을 부추겼다. 당연히 키워드는 ‘빨리빨리, 크게크게’였다고 해도 지나침이 없을 것이다.

따지고 보면 우리만 그랬던 것도 아니었다. 서구의 경우도 2차 세계대전 전후에 나타난 자동차의 대중화로 인하여 도시의 팽창과 도시 인구의 과밀화를 경험하였다. 그들도 그 시절엔 무지하게 빨리 짓고 부수고를 반복하였었다. 당연히 여러 도시 문제가 생겨났고 이에 대한 해결책도 몇 가지 제시되었다.

그중 하나가 1930년대에 르 코르뷔지에라는 프랑스 건축가가 선보였던 초고층의 복합용도 건물과 드넓은 오픈 스페이스를 갖는 도시 구상이다. 그의 생각은 자잘자잘 붙어사는 저층의 도시 주거는 어쩔 수 없이 녹지 공간의 감소를 가져오고, 자동차 시대에 맞지도 않을 뿐더러 멋도 없다는 것이었다.

따라서 높은 건물 속에 주택, 사무실, 쇼핑공간 등을 몰아넣으면 남는 공간에 공원도 원활하게 확보되고 도로를 확장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경쾌하고 멋진 스카이라인이 창조될 것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구상이 실천되지는 못하였지만, 많은 건축가들과 시민들의 머릿속에 그럴듯한 생각으로 자리잡게 되었고, 그의 추종자들은 초고층의 복합용도건물을 세계 여러 도시에 짓게 되었다.

그러나 이를 어찌할꼬. 이후의 연구에서 초고층주거 거주자에서 종종 나타나는 우울증과 저층 공간에서 사람과 사람들의 어울림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르 코르뷔지에의 실험은 인기를 잃어갔다. 사람들이 하루의 삼분의 일 정도를 거주하는 오피스 건물은 여전히 고층으로 올라갔지만 주거공간은 더 이상 솟아오르지 않게 된 것이다. 하기는 인간이 10층 이상의 높이에서 잠을 자고 밥을 먹게 된 것은 100년이 채 안 된다. 우리 몸속의 유전인자가 초고층에 적응하기에는 아직 시간이 더 필요할 것이고, 초고층 주거에서 발생하는 몇몇 병리적 현상은 어찌 보면 자연스럽다.

자, 그런데, 우리는 다르다. 남들이 더 이상 안 하는 짓을 더 열심히 하려고 한다. 하긴 남들이 안 한다고 우리까지 안 할 필요는 없다. 우리는 그들이 아니니까. 더구나 남들이 못 하는 걸 우리는 그동안 잘 참아내고 이겨내지 않았던가. 최근에 몇몇 사람들이 한강변 아파트 재건축에 대하여 거대한 건물 높이로 인한 도시 경관의 부조화를 지적하고, 한강 경관의 독점에 대한 부당성을 우려해도 그냥 넘길 수 있는 사람들이 우리들이다. 그깟 우울증은 맘 약한 사람이나 걸리는 거고, 도시 경관이 밥 먹여주는 것도 아닌데….

도시의 경관 관리를 위하여 도시의 층고를 무조건 억누를 필요는 없다. 고층의 잘 디자인된 오피스 건물은 도시에 활력을 준다. 잘생긴 건물 하나는 열 나무 부럽지 않다. 도시를 돋보이게 해주는 것이다. 그러나, 그러나 말이다. 사람들이 먹고 자는 주거는 그게 아니다. 이제는 물 건너 사람들은 왜 그렇게 하지 않나를 생각해 보자.

홍콩처럼 땅이 없어서 그러는 게 아니라면, 잠은 낮은 곳에서 자도록 하자. 주변 경관을 무시한 채 죽순처럼 솟고 있는 초고층주거들이 더 이상 우리 도시의 얼굴이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관련링크: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0&oid=081&aid=0000074661

February 26, 2013

0

LAB : 고려대학교 도시계획 및 도시설계 연구실 (KUUL)     l     TEL :  (02) 3290-3914 / Int`l (+82)-2-3290-3914 

ADDRESS : 서울시 성북구 안암로 145 고려대학교 자연계캠퍼스 공학관 352호 (우:02841)   l   #352, Building of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145, Anam-ro, Sungbuk-gu, Seoul 02841, Korea 

Copyright © 2021. Korea Univ Urban Lab.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seokitect@korea.ac.kr